이 글은 '최대공약수(gcd) 와 선형조합(linear combination) 1부' 의 내용을 토대로, 몇 가지 자잘한 내용들을 살펴본다.



a 와 b 가 서로소이고,  둘다 c 를 나누면,  ab 도 c 를 나눈다.

증명)  c = a k  = b t   ,   a x + b y = 1        ∴   c = a k  ( a x +  b y )  =  a k ( a x )  +  ab ( ky )  =   b t  ( a x ) +  a b ( ky )  =   ab  ( tx + ky )




다음은 Euclid's lemma. 로 알려져 있다.

a | bc 이고, a 와 b 가 서로소 이면,  a | c

 증명)  bc = ak  ,  ax + by = 1         ∴   acx + bcy = c     ∴  acx + aky = c     ∴  a ( cx + ky ) =   c



공약수를 d ,  공배수를 m , 최대공약수를 g, 최소공배수를   이라 하면, 다음이 성립한다.

d  |  g  |  ℓ  |  m

증명)  1부에서 이미,  공약수가 공배수를 나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, 최대공약수가 최소공배수를 당연히 나눔을 보였었다.
          또한, 1부에서, d | g 를 보였으므로,    |  m 을 보이는 것만 남았다.

          a 와 b 의 공배수와 최소공배수를  m 과    로 놓고, m 을   로 나누는 디비전 알고리듬을 생각하자.
           m   =     q +   r    (    0  ≤   r    <   )

         그러면, a와 b 가 m 과  ℓ 을 나누므로, 따라서, r 도 나누어야 한다. 즉, r 은 a 와 b 의 공배수가 된다.
         그런데 범위가 ℓ 보다 작기 때문에, ℓ 이 최소공배수 라는 것으로 부터, r 은 0 이 된다. 이것으로 증명이 완료된다.




a b = ℓ g

 증명)   a = g k   ,   b  =   g k '    이라고 놓으면,    ab / g   =    ak'  =  bk    이므로,   따라서 a 와 b 의 공배수이다.

임의의 (양의) 공배수를 m 이라고 놓으면,  m /  (  ab /g )  =  mg  / ab   =   m ( ax + by )  / ab   =   (m/b) x + ( m/a ) y  가 된다.
그런데, m 이 a 와 b 의 공배수 이므로  (m/b) x + ( m/a ) y  는 정수이다.

따라서, m / (ab/g) 도 정수이다.  즉, ab/g 는  m 을 나누고, 따라서, ab/g   ≤  m  이다.
공배수 ab/g 는 임의의 공배수 m 보다 작거나 같으므로,  최소공배수이다.   그러므로, ab / g =    이 된다.  


곧바로, 다음의 코롤레리가 얻어진다.

a 와 b 가 서로소 이면,  ℓ = ab 이다.




다음의 것도 자주 사용된다.

a = g s , b = g t   이면, s 와 t 는 서로소 이다.

 사실 이건 1부에서 이미 증명한것이다.  a x + b y = g  에서 양변을 g 로 나누면   (a/g) x + (b/g ) y = 1 로 (a/g) 와 (b/g) 가 서로소.




여기서 부터는,   gcd ( ,  )  , lcm( , ) 보다 더 간단한 표현으로 ( , ) , [ , ] 을 쓰기로 한다.
그러면, "a와 b는 서로소 이다" 는  간단히  (a,b) = 1 로 쓰면 된다.


( a,b )  |  ( ac , bd )

증명)  (a,b) | a | ac ,  (a,b) | b | bd     그러므로, (a,b) 은 ac 와 bd 의 공약수이다. 그러므로 (ac,bd) 를 나눈다.




(ka,kb) =  |k| (a,b)

증명) (ka,kb) = positive min{ kax + kby } = |k| positive min{ ax + by }   증명끝.




다음은 정리는 매우 중요하다.

(ab,cd) = 1   ⇔  (a,c) = (a,d) = (b,c) = (b,d) = 1

증명)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의 증명은 abx + cdy = 1  부터 자명하므로,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증명만 남는다.

이것은  (a,c) = (b,c) = 1  ⇒  (ab,c) = 1 임을 증명하면 충분하다.
왜냐면, c 대신 cd 로 치환하면,  연쇄적으로 적용돼서 원하는 증명이 되기 때문이다.

따라서,  (a,c) = (b,c) = 1  ⇒  (ab,c) = 1  만 증명하면...
ax+cy = 1 , bu + cv = 1 이고, 두식을 곱하면,  ab (xu ) + c ( buy + axv + cyv ) = 1 이므로, 증명이 끝난다.



위의 정리로 부터 다음의 정리는 간단히 증명된다.

(a,b)=1,  c|a   이면 ,   (c,b)=1

증명)  ( a,b ) = 1   이고  c | a    ⇒   ( ck , b ) = 1   ⇒   (c,b) = (k,b) = 1   증명끝.






(a,b)=1  이면   (ac,b) = (c,b)

증명)  우선 (c,b) | (ac,b) 는 당연하므로, (ac,b) | (c,b)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.
         ax + by = 1  ⇒  acx + bcy = c   , 여기서  (ac,b) 가 ac 와 b 를 나누므로 , 우변의 c 도 나눈다. 증명끝.




(a,b) = 1    이면    ( a , b+ka ) =1

증명)  ax + by = 1   ⇒    ax - kay + kay + by = 1   ⇒   a ( x - ky )  +  (b + ka ) y = 1 




(a,b) = 1  이고   d | ac  ∧  d | bc    이면    d | c

증명) ac = ds , bc = dt , ax + by  =  1  ⇒   acx + bcy = c  ⇒   dsx + dty = c   ⇒   d ( sx + ty ) = c





(a,b) = 1   이면    ( an , bn ) = 1

증명)  ( a2 , b ) = 1  을 보이면 충분, 연쇄적으로 적용하면 되니까.
         ax + by = 1  ⇒  ( ax + by ) 2   =   1    ⇒    a2 ( v ) + b ( 2 axy + by2 )  =  1



마지막으로,  퀴즈  "서로소와 최대공약수" 의 예시답안을 첨부하며 끝을 맺는다.

(a+b,a-b) |  (a+b) ± (a-b)      ∴   (a+b,a-b) | 2a   ,   (a+b,a-b) | 2b    ∴  (a+b,a-b) | (2a,2b)   ∴ (a+b,a-b) | 2 (a,b)   ∴  (a+b,a-b) | 2
  ∴  (a+b,a-b)  =  1  또는  2